복지 혜택, 의료비 지원, 각종 정부 지원사업을 신청할 때 “우리 집이 중위소득 120% 이하인가요?”라는 기준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그리고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해당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소득의 중앙값으로, 복지 및 각종 정부지원 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란 가구의 소득인정액(소득 + 재산 환산금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1.2배 이하인 가구를 말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00%) |
1인 가구 | 2,392,013원 |
2인 가구 | 3,932,658원 |
3인 가구 | 5,025,353원 |
4인 가구 | 6,097,773원 |
5인 가구 | 7,108,192원 |
6인 가구 | 8,064,805원 |
7인 가구 | 8,988,428원 |
※ 예시: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는 6,097,773원 → 120% 기준은 약 7,317,000원 이하입니다.
중위소득 120% 이하 확인 절차
단계 | 내용 | 참고 |
① 기준 중위소득 확인 | 보건복지부, 복지로 등 공식자료 참고 | 보건복지부 / 복지로 |
② 가구의 소득인정액 산출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근로·사업·이자소득 + 부동산·자동차 등) |
|
③ 건강보험료 기준표 대조 |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120% 구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이하인지 확인 | |
④ 비교 및 판단 | 내 가구의 보험료가 해당 구간 이하라면 ‘중위소득 120% 이하’ | 보건복지부 / 지자체 |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 (2025년 / 120% 구간)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20% | 직장가입자 본인부담금 | 지역가입자 본인부담금 | 혼합가입자 |
1인 | 2,870,416원 | 약 102,613원 | 약 22,380원 | 약 103,000원 |
2인 | 4,719,189원 | 약 177,500원 | 약 118,000원 | 약 182,000원 |
3인 | 6,030,423원 | 약 230,000원 | 약 188,000원 | 약 236,000원 |
4인 | 7,317,000원 | 약 261,360원 | 약 208,471원 | 약 266,302원 |
5인 | 8,530,000원 | 약 298,000원 | 약 238,000원 | 약 303,000원 |
※ 즉, 4인 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261,000원 이하라면 그 가구는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에 해당합니다.
내 가구가 중위소득 120% 이하인지 확인하는 법
✔️ 복지로에서 간편 확인하기
1️⃣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2️⃣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클릭
3️⃣ 가구원 수, 월 소득, 재산 입력
4️⃣ “가구의 소득인정액” 및 “중위소득 기준 비율” 자동 계산 확인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전화로 “중위소득 120% 이하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 문의 가능
추가 팁tip
✅ 소득인정액 구성 요소
- 소득평가액: 급여, 사업, 연금, 이자소득
- 재산환산액: 부동산, 전세보증금, 자동차, 금융자산 등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확인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보험료 조회’
- 매월 납부 고지서 기준 본인부담금 확인
✅ 주의
- 맞벌이 가구의 경우 부부 합산 소득으로 계산
-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구분하여 표 기준 확인 필수
🧷 예시로 보는 실제 계산
- 4인 가구, 직장가입자
- 월 보험료: 255,000원
- 중위소득 120% 기준(261,000원) 이하 → ✅ 복지 지원 가능
- 2인 가구, 지역가입자
- 월 보험료: 130,000원
- 기준(118,000원) 초과 → ❌ 120% 이상 구간
✅ 요약
항목 | 내용 |
기준 중위소득 확인 | 보건복지부, 복지로 공식자료 |
중위소득 120% 의미 | 기준 중위소득 × 1.2 이하 |
확인 방법 | 복지로 모의계산 or 건강보험료 기준표 대조 |
기준표 활용 | 직장/지역가입자별 본인부담금 비교 |
문의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
“우리 집이 중위소득 120% 이하일까?”
이 기준은 각종 정부 복지, 청년 지원금, 의료비 경감, 교육비 지원의 기본 조건입니다. 보건복지부 공식 중위소득표와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활용해 정확히 비교하면, 복지 혜택을 빠짐없이 챙길 수 있습니다.
최신 정보 더보기
2025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신청(최대 40만 원)
전세 계약을 하다 보면 가장 불안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전세보증금 반환 문제입니다. 이를 대비해 많은 임차인들이 HUG, HF, SGI 같은 보증기관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상품에 가입하고 있는데요.
tipplus.kr
2025년 베드뱅크 누가, 무엇을, 어떻게 지원받을까?
2025년 베드뱅크 완벽 해설! 개인채무자, 자영업자, 소상공인 대상 부실채권 조정 제도. 누가, 무엇을, 어떻게 지원받는지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최근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베
tipplus.kr
신용회복 대상자 조회부터 개인워크아웃, 프리워크아웃 자격 조건
신용회복 대상자 조회부터 개인워크아웃, 프리워크아웃 자격 조건. 연체자·채무자 필수 정보와 신청 절차, 주의사항을 쉽게 확인하세요. 신용카드 연체나 대출 상환 지연이 길어지면, 금융기관
tipplus.kr
#중위소득120 #건강보험료기준 #복지로 #보건복지부 #복지기준 #정부지원금 #소득기준 #건강보험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