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 호가창 보는 법: 초보자를 위한 실전 매매 준비 가이드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처음 마주하게 되는 실전 화면 중 하나가 바로 호가창입니다. 호가창은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닌, 시장의 흐름과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정보창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호가창 구성과 보는 방법, 실전 활용법까지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1. 호가창이란?호가(呼價)란, 주식 거래 시 사고팔고자 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호가창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제시한 가격과 수량이 실시간으로 나열된 화면입니다.📌 호가창 기본 구성매수호가: 주식을 사려는 사람들이 제시한 가격매도호가: 주식을 팔려는 사람들이 제시한 가격잔량: 해당 가격에서 사고팔고자 하는 수량호가창은 보통 위쪽은 매도호가, 아래쪽은 매수호가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현재 거래가 이루어지는 가격인 체결가가 표시됩니다.2. 실전.. 2025. 5. 4. 상한가와 하한가란? 초보도 꼭 알아야 할 가격제한제도 주식을 하다 보면 '오늘 이 종목 상한가 쳤다!' 혹은 '하한가 맞았다...' 같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단순한 주가 변동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주식 시장의 안정성과 관련된 가격제한제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1. 상한가란?상한가(上限價)는 주식의 하루 가격 상승폭의 최대치를 의미합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는 전일 종가 대비 +30%가 상한가입니다.예를 들어, 어떤 종목이 전날 10,000원에 마감했다면, 다음 날 상한가는 13,000원이 됩니다. 이 가격 이상으로는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상한가의 특징주로 호재 뉴스나 실적 서프라이즈 등 긍정적 재료 발생 시 나타남‘상한가에 매수 대기’는 많지만 실제 거래는 적을 수 있음 (이른바 매수잔량 상한가)연속 상한가 발생 시 ‘따상’(.. 2025. 5. 4. 배당금이란? 배당주 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주식 투자에서 수익을 얻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주가 상승에 따른 시세 차익, 또 하나는 배당금 수령입니다. 특히 꾸준한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배당주 투자는 안정적인 수익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배당금이란?배당금(Dividend)은 기업이 이익을 낸 후,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으로 나눠주는 것을 말합니다. 즉, 주주로서 기업의 성과를 ‘분배’받는 개념입니다.배당은 주로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으로 나뉩니다:현금배당: 주당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주식배당: 현금 대신 자사 주식을 지급 (보통 유상증자와 함께 고려됨)2. 배당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특정 기준일에 주주명부에 올라야 합니다. 보통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기준일: 배당금.. 2025. 5. 4. PER, PBR이 뭐길래? 기업 가치를 보는 핵심 지표 정리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많은 전문가와 투자자들이 이 지표를 바탕으로 주식이 ‘싸다’ 혹은 ‘비싸다’는 판단을 내리곤 합니다. 그렇다면 PER과 PBR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PER이란? (Price to Earnings Ratio)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한 마디로 말하면 “이 기업의 주가가 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냅니다.PER 계산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50,000원이고, EPS가 5,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이는 이 회사의 순이익 기준으로 현재 주가는 10배에 거래되고 .. 2025. 5. 3. 매수, 매도, 체결이란? 주식 주문의 기본 용어 해설 주식 거래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용어가 매수, 매도, 체결입니다. 거래 화면에는 늘 이 단어들이 등장하는데, 이 뜻만 제대로 알아도 주식 거래에 대한 이해도가 크게 높아집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문과 체결의 개념을 상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1. 매수란 무엇인가?매수(買收, Buy)는 주식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종목의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주주가 됩니다. 매수 주문 시에는 보통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시장가 매수: 현재 시장에서 제시된 가장 낮은 가격에 즉시 매수지정가 매수: 내가 정한 가격 이하일 때만 매수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5,000원일 때, “5,000원에 10주 매수” 주문을 넣으면 총 5만 .. 2025. 5. 3.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주식시장 구조 주식에 입문하는 분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입니다. 둘 다 한국의 주식시장인데,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주식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 증시 구조와 코스피/코스닥의 차이점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한국 주식시장의 기본 구조한국의 주식시장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코스피 시장: 대형 기업 중심의 '본시장'코스닥 시장: 중소형 성장 기업 중심의 시장K-OTC: 장외 거래 시장 (비상장주식 거래용)이 중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거래하는 시장은 바로 코스피와 코스닥입니다.코스피란 무엇인가?코스피(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는 1983년에 시작된 한국의 대표적인 주.. 2025. 5. 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