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TS와 MTS란? 주식 매매 플랫폼 차이 쉽게 설명하기

by 중후미 2025. 5. 6.
반응형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용어 중 하나가 HTS와 MTS입니다. 둘 다 주식을 매매할 수 있는 플랫폼(거래 시스템)을 뜻하지만, 사용 방식과 접근 환경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HTS와 MTS의 의미, 기능, 차이점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HTS란? (Home Trading System)

HTS는 'Hom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PC(데스크톱 또는 노트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주식 거래 프로그램입니다.

📌 HTS 특징

  • 전문 투자자용 기능 다양: 차트 분석, 자동 주문, 조건 검색 등
  • 넓은 화면으로 복잡한 정보 한눈에 보기 가능
  • 속도와 안정성에서 우수

📌 대표 HTS 예시

  • 키움증권 → 영웅문4
  • NH투자증권 → 나무 HTS
  • 미래에셋증권 → m.Stock HTS

2. MTS란? (Mobile Trading System)

MTS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사용하는 주식 거래 앱입니다.

📌 MTS 특징

  • 언제 어디서나 거래 가능 – 휴대성과 편의성 최고
  •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초보자 친화적
  • 간단한 매수/매도, 잔고 확인, 알림 기능 중심

📌 대표 MTS 예시

  • 삼성증권 → mPOP
  • 신한투자증권 → 신한알파
  • 키움증권 → 영웅문S

3. HTS와 MTS의 차이점 정리

항목 HTS MTS
사용 환경 PC (설치 프로그램) 모바일 앱 (스마트폰)
기능 전문적인 분석 도구 다수 기본 주문 기능 중심
속도/안정성 높음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름
사용 편의성 초보자에겐 다소 복잡 간편한 UI, 알림 기능 탑재
추천 대상 전업투자자, 기술적 분석 중시 초보자, 직장인, 간편 매매 선호자

4. 투자자 입장에서의 선택 기준

  • 처음 투자한다면? MTS부터 시작 → 익숙해지면 HTS 병행
  • 실시간 대응, 조건 검색 활용하고 싶다면? HTS 필수
  • 자주 이동하며 거래한다면? MTS가 효율적

5. 함께 알아두면 좋은 용어

  • API 거래 – 자동매매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고급 HTS 기능
  • 알림 서비스 – MTS에 설정 가능한 종목별 시세 알림
  • 계좌 이체·공모주 청약 – 대부분 MTS에서 가능

마무리 정리

HTS와 MTS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투자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선택 또는 병행이 가능합니다. **HTS는 정교한 분석 도구**, **MTS는 빠르고 간편한 접근성**으로 서로를 보완하며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처음이라면 MTS로 시작해보고, 분석 기능이 필요해질 때 HTS로 확장해보세요.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