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수, 매도, 체결이란? 주식 주문의 기본 용어 해설

by 중후미 2025. 5. 3.
반응형

주식 거래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용어가 매수, 매도, 체결입니다. 거래 화면에는 늘 이 단어들이 등장하는데, 이 뜻만 제대로 알아도 주식 거래에 대한 이해도가 크게 높아집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문과 체결의 개념을 상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매수란 무엇인가?

매수(買收, Buy)는 주식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종목의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주주가 됩니다. 매수 주문 시에는 보통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시장가 매수: 현재 시장에서 제시된 가장 낮은 가격에 즉시 매수
  • 지정가 매수: 내가 정한 가격 이하일 때만 매수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5,000원일 때, “5,000원에 10주 매수” 주문을 넣으면 총 5만 원이 필요하며, 이때 거래가 이루어지면 체결됩니다.

2. 매도란 무엇인가?

매도(賣渡, Sell)는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과정으로, 이익 실현이나 손절매를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매도도 매수와 마찬가지로 시장가 매도지정가 매도가 있습니다:

  • 시장가 매도: 즉시 팔기 위해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사람에게 매도
  • 지정가 매도: 내가 원하는 가격 이상으로만 매도

3. 체결이란 무엇인가?

체결(締結, Execution)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가격이 일치하여 거래가 실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리 매수·매도 주문을 넣더라도 체결되지 않으면 거래는 성사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A기업 주식을 5,000원에 사고 싶은 사람과, 5,000원에 팔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두 사람의 주문이 만나 체결되고, 주식은 매수자에게 이전되고 금액은 매도자에게 지급됩니다.

4. 주문과 체결의 흐름

아래는 주식 주문에서 체결까지의 흐름을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매수자: “이 주식 5,000원에 10주 사고 싶다” → 매수 주문
  2. 매도자: “이 주식 5,000원에 10주 팔고 싶다” → 매도 주문
  3. 두 주문이 가격/수량 일치 → 체결

5. 체결되지 않는 이유는?

주문을 넣었는데도 거래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정한 가격에 맞는 상대방이 없을 경우
  • 주문 수량이 너무 많거나 적을 경우
  • 장 마감 시간 이후 주문한 경우 (주식은 오전 9시~오후 3시 30분 거래)

6. 초보자가 주의할 점

처음엔 시장가 주문이 빠르고 편리하지만, 가격 급등락 시 예상치 못한 체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보자일수록 지정가 주문을 활용</strong하여 원하는 가격에 사고파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7. 마무리 정리

주식의 기본 용어인 매수, 매도, 체결은 매일 거래되는 시장에서 빠질 수 없는 개념입니다. 이 세 가지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 HTS나 MTS 화면을 해석하는 데 훨씬 수월해집니다.

다음 글에서는 호가창 보는 법과 매수/매도 우선 순위를 주제로 한 단계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 이 콘텐츠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