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결제 시 비밀번호를 연속으로 잘못 입력하면 카드가 잠기거나 결제가 거절되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이런 상황이 더 난감하죠. 오늘은 롯데카드 비밀번호 오류 3회 발생 시 대처법과 변경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어떤 비밀번호가 잠겼는지 먼저 확인하세요
롯데카드에는 용도가 다른 3가지 비밀번호가 있습니다. 잠금 해제 방법이 다르니, 상황별로 구분해야 합니다.
구분 | 사용처 | 오류 시 증상 | 해결 방법 |
카드 비밀번호 (4자리) | 오프라인 단말기 결제, 현금서비스 | 결제 거절, 단말기 오류 표시 | 앱·홈페이지 [카드비밀번호 등록/변경] → 본인인증 후 재설정 잠금 해제는 고객센터(1588-8100) 필요 |
결제 비밀번호 (6자리) | 디지로카 앱카드, QR결제, 온라인 결제 | “결제 비밀번호 오류/잠김” 메시지 | 앱에서 본인인증 후 재설정 (1일 3회 또는 누적 5회 오류 시 잠김) |
로그인 비밀번호 | 홈페이지·앱 로그인 | 로그인 불가 | 로그인 화면 ‘비밀번호 찾기’ 또는 [정보관리] 메뉴에서 변경 |
2️⃣ 카드 비밀번호(4자리) 변경·잠금 해제 방법
✔️ 앱/홈페이지에서 변경 (비밀번호 기억할 때)
- 롯데카드 디지로카 앱 로그인 → [전체메뉴] → [카드관리] → [카드비밀번호 변경]
- 현재 비밀번호 입력 후, 새 비밀번호 4자리 설정
- 변경 완료 알림 확인
✔️ 고객센터 ARS로 변경/잠금 해제 (비밀번호 잊었거나 잠김)
- 대표번호 1588-8100 전화
- [2번: 조회/변경 서비스] → [4번: 비밀번호/사용정지 해제] → [1번: 카드 비밀번호 변경] 선택
- 카드번호·유효기간·CVC 입력 후 본인인증
- 새 비밀번호 4자리 입력 → 즉시 변경 완료
해외에서는 +82-2-1588-8100 국제전화 연결만 가능합니다.
3️⃣ 결제 비밀번호(6자리) 잠금 해제 방법
- 앱카드·온라인 결제용 비밀번호는 1일 3회, 누적 5회 오류 시 자동 잠금
- 앱 실행 → 본인인증(휴대폰·공동인증서 등) → [결제비밀번호 재설정]
- 새 비밀번호 6자리 입력 후 저장
4️⃣ 해외에서 오류 3회 이상 발생 시
- 앱카드 결제 비밀번호 잠김 → 앱에서 본인인증 후 재설정 가능
- 실물 카드 비밀번호 잠김 → 반드시 한국 고객센터 국제전화(+82-2-1588-8100) 연결 필요
- 통화 전 여권번호·카드번호를 준비하면 인증이 빨라집니다
5️⃣ 비밀번호 설정 시 유의사항
- 생년월일, 전화번호, 연속·반복 숫자는 보안상 사용할 수 없음
- 로그인/결제/카드 비밀번호는 각각 다르게 설정 권장
- 3~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변경하면 보안 효과 극대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카드 비밀번호를 3번 틀렸는데, 앱에서 바로 풀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고객센터(1588-8100) ARS 또는 상담원 연결을 통해서만 해제할 수 있습니다.
Q2. 결제 비밀번호 잠금은 어떻게 풀나요?
A. 앱 내 본인인증 후 바로 새 비밀번호로 재설정 가능합니다.
Q3. 해외에서도 해결할 수 있나요?
A. 네. 앱 비밀번호 잠금은 앱 본인인증으로 가능, 카드 비밀번호 잠금은 반드시 국제전화 고객센터 연결이 필요합니다. 롯데카드 비밀번호는 3가지(카드·결제·로그인)로 구분되며, 오류 3회로 잠겼다면 상황별 맞는 방법으로 신속히 재설정해야 합니다.
특히 카드 비밀번호는 고객센터 ARS가 유일한 복구 수단이므로, 번호(1588-8100)는 꼭 기억해 두세요. 안전한 카드 사용의 첫걸음은 비밀번호 관리입니다. 오늘 바로 비밀번호를 점검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최신 정보 더보기
롯데카드 해킹 개인정보 유출 보상 · 대처법 총정리
최근 롯데카드에서 회원 약 297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중 약 28만 명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가 함께 유출돼 부정사용 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나
tipplus.kr
신용카드 거래취소방법 & 결제취소 확인 꿀팁
온라인 쇼핑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드 결제를 했다가, 단순 변심·상품 하자·주문 오류 등으로 결제를 취소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말 취소가 된 게 맞을까?” 하는 의문, 누
tipplus.kr
9월 재산세 카드납부 혜택 총정리
2025년 9월은 재산세 2기분(주택분)과 토지분 재산세를 납부하는 시기입니다. 특히 납부 금액이 수십~수백만 원 단위로 크기 때문에 카드 무이자 할부, 캐시백, 포인트 적립 등 혜택을 활용하면 가
tipplus.kr